코로나 팬데믹으로 연 2년째 우리나라는 물론 전 세계적으로 어려운 상황이 지속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팬데믹은 결국 위드 코로나로 가야 한다는 사회적 공감대를 만들었지만 여건상 당분간은 확진자가 늘어나고 사회적 부작용이 이어질 전망입니다.
여기에 그동안 사회적 격리로 멈췄던 돈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각국의 양적 완화는 필연적으로 인플레이션과 왜곡된 흐름으로 부작용을 빚고 있습니다. 각국 정부는 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해서 위드 코로나로 개방정책을 추구하면서도 인플레를 막아야 하고 코로나 확산을 막기 위해 거리 유지 등 제약을 가할 수 밖에 없는 어려움에 처하고 있습니다.
그래도 희망은 있습니다. 코로나 격리 기간 중에도 수출은 전년비 26% 성장하고 경제도 3.5% 이상 성장을 예견하고 있고 일부 업종은 전년대비 100% 이상의 놀라운 성장과 수익을 달성하고 있습니다.
베트남도 금년도 GDP 성장 목표 6.5% 달성은 어려워졌습니다. 지난 ¾분기에는 전국적인 코로나 봉쇄로 -6.17%라는 초유의 침체도 겪었지만 금년도 성장은 3%는 무난할 것으로 예견합니다. 최근 국회 승인을 받은 내년도 GDP성장 목표는 6~6.5%로 잡았고, 세계은행도6%는 무난히 넘길 것으로 예상합니다. 코로나로 강제 격리가 전국적으로 강화되었음에도 수출은 전년비 24.4% 성장을 이루며 내년도 전망을 밝게하고 있습니다.
▶ 팬데믹 후유증
▷ 디지털화 촉진
이번 사회적 격리와 비대면이 확산되면서 비즈니스와 사회활동 모든 면에서 디지털화(Digital Transformation)가 앞당겨지고 있습니다.
인류사회는 이번 계기로 새로운 전환기에 들어서고 있다고 봅니다. 문명화 3. 0으로 불러야 할까요?
지금까지 우리 생활과 문화와 사회제도를 이루었던 아날로그 대면 중심의 모든 시스템과 통념이 송두리째 바뀌고 있으니까요. 심지어 현실세계를 넘어 가상 현실의 시공간에서 비지니스를 이루는 메타버스까지 도래하니 가상세계는 물론 현실 세계에서 조차 사회성이 떨어지고 존재감이 무력해 지지 않을지 걱정스럽기도 합니다.
▷ 원가 상승
이번 팬데믹의 여파로 원자재 가격 인상과 물류비가 폭등하여 물가인상을 우려하게 되었습니다. 거침없이 풀린 재정을 회수하기 위해서 각국 정부는 서서히 중앙은행의 기준금리 인상을 만지작거리고 있지만 금리 인상 및 그 후유증도 염려됩니다.
더불어 각국 정부는 자국 통화를 기준으로 경제를 풀어가기 위해서 환율 방어에 나서고 있지요.
전세계 돈의 흐름은 안전하고 이윤이 높은 고금리로 쏠리기 마련 입니다.
미 연준의 테이퍼링에 환율방어에 취약한 신흥국들이 촉각을 곤두세울 수 밖에 없습니다. 각국의 기준금리 인상은 필연적으로 채무불이행이 늘어나고 금융 불안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우려되고 있습니다.
일각에서는 코로나 후유증으로 3C 즉 Cost, China, Currency를 지적하기도 합니다.
Cost 즉 원가는 원자재 및 물류비가 폭등하면서 작년 연초 대비 구리는 34%, 코로나 이전 대비 2배가 올랐고, 국제유가도 배럴당 20 달러 까지 떨어졌다가 다시 반등해서 이미 80 달러를 넘어서면서 전세계를 긴장시키고 있습니다. 올겨울 특히 라니냐 영향으로 동북아는 많이 추울 것으로 예상하는데 석유 값이 올라 난방비와 휘발유가격 등 에너지 가격이 많이 부담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들 원자재가격 폭등은 단기적으로 생산이 막히고 물류 라인이 끊어지면서 수급 불안이 심화돼 빚어진 것으로 회복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합니다.
코로나로 촉발된 물류 대란은 전세계 항만에 컨테이너 적체현상을 야기했습니다.
베트남 물동량의 80%를 차지하는 호치민 Cat Lai항구에서도 적재된 컨테이너로 몸살을 앓고 있습니다. 하역작업자들이 코로나로 현장에 투입되지 못하는 것이 원인이었지요.
또 수급이 불안해지면서 컨테이너가 제 때에 다시 회수 되지 않아서 한 곳에서는 잔뜩 쌓여있고 다른 곳에서는 컨테이너가 없어서 발을 동동 구르는 수급 불균형이 물류비용 폭증을 불러왔습니다.
영국 Drewry가 발표한 세계 컨테이너 운임지수를 보면 5년 평균이 $2,396이었으나 지난 9월 기준 $10,377로 4.3배나 폭등하였다고 합니다.
최근 철강 자재들도 정치적인 이유로 수급 불균형이 심화되어 폭증하고 있습니다. 덩달아 우리나라는 조선공업이 다시 황금기를 맞고 있지만 후판 공급 가격이 금년에만 60% 올라서 수주는 넘쳐나는데 경영은 적자를 보고 있는 상황이 전개되고 있다고 합니다.
▶ 탈 중국화 (Decoupling)
여기에 미국과 중국의 무역갈등으로 촉발된 탈 중국화 (Decoupling)가 향후 중요한 변수가 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중국은 이미 세계의 공장으로서 전 세계 물동량 수급에 절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국가를 넘어 전 세계 곳곳이 수요와 공급이 촘촘하게 연결된 다중 무역 구조로 성장해 왔습니다. 이것이 정치 경제적인 이유로 제재가 가해지면서 혼란을 겪고 있는 것이지요.
우리나라의 경우도 현재 중국 의존도가 대단히 높습니다. 해외 수입의존도가 50% 넘는 위험 물품이 1088 개로 집계되고 의존도가 70% 이상인 취약 품목은 653 종이나 됩니다.
이런 여파로 최근 디젤 화물차의 발을 묶었던 요소수 수입 문제라든가 반도체 수급 불안 등이 우리 경제의 발목을 잡고 있지요.
더 위험한 것은 미래 성장 산업인 배터리나 전기자동차에 꼭 필요한 리튬과 마그네슘은 중국이 전세계 물량의 83.5%와 85%를 차지한다는 점이지요.
이것 뿐인가요?
실리콘 등 많은 희토류가 중국이 원자재 부국으로써 절대적인 영향력을 쥐고 있습니다.
여기에 미중 무역갈등 해법을 찾기 위해서는 중국 시장을 있는 그대로 다시 보는 것이 필요합니다
▶ 중국 시장 이해
중국은 최근 시진핑 주석의 3연임이 가시화되면서 중국 공산당 주도의 국가 자본주의를 강력히 내세우고 있습니다. 개인의 자유가 보장되는 민주주의 주도의 자본주의 방식의 의사결정 지연이나 내부 조정을 통한 사회적 갈등을 차단하고 공산당이 주도하는 강력한 중앙집권 체제를 표방하고 있지요. 문제는 이런 정책을 중국 내부에서만 쓰는 것이 아니라 주변 국가로 영향력을 확대하는 데 있습니다. 주변국가 및 이해관계가 걸린 국가들이 불편해 하는 이유입니다.
실제로 중국은 대륙의 꿈이라고 불리는 중국몽(中国梦)을 내세우면서 유라시아 대륙과 아프리카까지 엮어서 일대일로(一带一路)로 대륙과 인도양 전체를 아우르는 거대한 블록을 세력화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사회주의 통치 이념 확산을 주도하고 있고 중국의 젊은 세대들은 제2의 홍위병이라 불릴 정도로 애국주의에 몰입되어 정부방침에 적극적으로 동조하고 있습니다.
전 세계와 교류하는 SNS에서도 이에 따른 폐단이 곳곳에 드러나고 있지요. 상대편에 대한 배려나 이해보다는 자기 주장이 우선시하는 일방적이고 편협된 이해관계가 주변을 불편하게 합니다.
중국은 2015년에 이미 제조업을 통한 중국 굴기를 내세우면서 MIC 2025(Made in China 2025)를 시작하였고 기술 자립을 위해서 R&D 등에 정부 보조금을 적극 지원하고 있습니다.
그 결과로 많은 공산품 기술이 글로벌 수준에 도달했고 일부 품목은 중국이 앞서가고 있지요. 이제는 중국산 없이는 부품이나 완성품을 만들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 되었습니다.
그동안 중국은 해외 기술주도 업체들에 대한 인수합병 M&A를 적극적으로 추진해 왔습니다. 2016년에 미국 주요 기업들에 대한 M&A는 무려 550억 달러에 달하며 전년 대비 376%나 성장했지만 여기에는 중국 정부에서 지원하는 5천억 달러에 달하는 기금도 한몫을 했다고 봅니다.
중국의 고도성장은 국내총생산 기준으로 세계 최대의 시장인 미국을 추월하고 있습니다. GDP 기준으로 작년도 중국은 $14.7조로 미국 $20.9조의 턱밑(70%)에까지 올라왔습니다.
현 추세로 중국은 2025년이면 미국을 추월할 수 있다고 자신감을 내비치고 있고 해외 주요기관에서도 2028년 이전에 미국을 앞설 것으로 예상하는 분위기입니다.
구매력 평가지수(PPP)를 반영한 GDP기준으로는 중국이 2013년에 이미 미국을 추월한 것으로 나타나기도 합니다.
이에 대한 국제사회의 대응은 여러 시사점을 줍니다.
미국은 이 모든 대응에 리더로서 정치 경제 국방 기술 등 각 분야에서 민주주의를 중심으로 한 자본주의 국가들의 이해관계를 지키려 노력하고 있지요. 여기에 유럽과 일본이 제한적으로 동참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명분상 동참을 하면서도 각국의 셈법은 복잡합니다.
유럽은 주요 국가들이 새로운 이해관계에서 실리와 균형을 찾으려 하고 일본은 동북아의 지정학적 영향력을 행사하고 해양 패권을 쥐기 위해 편승하고 있지요.
북한을 맞대고 있는 우리나라의 셈법은 더욱 복잡합니다.
중국은 우리나라 제일의 무역국이자 역사적으로나 지정학적으로 긴밀한 관계에 있기 때문에 미국 중심의 정책은 여러가지가 복잡하게 얽히게 됩니다.
그러나 이런 어려움은 거꾸로 기회로 볼 수 있기 때문에 우리의 장점과 역할을 잘 살린 균형있는 외교가 필요해 보입니다. 특히 우리의 미래를 위한 분명하고 스마트한 목소리를 내는 리더십과 전국민의 성원이 절실합니다.
▶ 중국공급망
중국은 국제사회의 공급망으로서 미국에 대해서도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실제 2019년 통계로 미국의 대중국 수출은 1,066억 달러였으나 수입은 4,522억 달러로 무역적자가 3,456억 달러에 달했습니다.
지난 수십년 동안 중국 성장의 재원은 상당부분 미국이 제공해 준 면이 크다고 볼 수 있지요.
이것은 제품만 놓고 본 것이고 무역의 또 다른 축인 서비스 교역에서는 미국은 365억 달러의 흑자를 보았지만 제품 무역 적자가 워낙 커서 실제로는 3천억 달러가 넘는 무역적자를 기록합니다.
여기서 잠깐 자유무역협정(FTA)의 기본 취지와 배경을 짚어 보고자 합니다.
FTA는 아시다시피 미국이 주도적으로 창안하였습니다.
미국은 WTO체제에서 다자간 무역협상이 교착상태에 빠지자 개별 국가나 역내국가들을 상대로 개별 무역협정을 추진합니다. 각 나라마다 관심 품목이 다르고 여건이 틀리기 때문이지요. 그래서 FTA는 국가 대 국가 또는 국가 대 지역의 1:1 협상이고 맞춤형으로 추진하게 됩니다.
미국이 FTA를 서둘렀던 근본적인 이유는 2차대전 후 주도적으로 세계시장을 리드하였던 제조업이 일본 독일 한국 등 신흥국가에 경쟁력을 잃어가면서 이에 대한 대비를 할 필요가 컸기 때문입니다. 즉 미국보다 훨씬 저렴하게 좋은 물건을 해외에서 사 들이면 그것이 미국 경제에 도움이 되지만 미국의 달러가 유출되는 문제를 막기 위해서는 미국이 경쟁력을 갖고 있는 서비스를 해외에 동일한 조건으로 교역하는 틀을 만들자는 것이었지요.
즉 제품은 수입하고 서비스는 수출하는 자유 무역을 보장하는 틀을 만드는 것입니다.
미국이 경쟁력을 가진 서비스는 잘 알다시피 의료, 금융, 교육, 공공행정, 홍보, 법무, 지적재산권 등 다양합니다.
실제로 해외에서 생산된 저렴한 공산품을 낮은 관세로 들여오면 미국 소비자들에게는 실질적인 이득이 됩니다. 결과적으로 미국이 지난 십여년 동안 괄목할만한 경제 성장을 이루면서도 인플레이션 없이 낮은 물가를 유지한 데는 중국의 기여가 컸습니다.
경제가 활성화되면 돈이 풀리면서 필연적으로 인플레이션이 발생해야 하는데 그렇지 않은 기현상이 벌어진 셈이지요.
미국과 중국의 무역에서 재미있는 점은 미국 내수 시장에 공급되는 수입품의 비중이 12.2%에 불과하다는 점입니다. 물론 이 수입품 중에서는 중국 의존도가 절대적이지요. 중국도 역시 내수 경제에 기여하는 수입품 비중은 14.2%에 불과합니다. 미국과 일본, 한국이 주요 공급국들입니다.
반면에 한국은 내수시장 수입 의존도가 40%에 달합니다. 따라서 한국은 해외 위험요인이 그대로 국내 산업에 반영되는 취약함을 보입니다.
▶ 미-중 상호의존적
미국의 중국 의존도도 다른 면에서 보면 높습니다. 실제로 미국은 중국에 1,652억 달러를 수출하고 유발효과로 268만명을 고용합니다.
물가 인상이 억제되는 긍정적 효과는 전술 하였지요.
디커플링(Decoupling)으로 탈 중국화를 시도했을 때 관련 산업의 피해를 보면 심각합니다. 항공산업은 510억 달러 영향을 받고 22만명이 실직을 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반도체 1240억 달러에 10만명이 실직을 하고, 화학제품은 380억 달러에 10만명 실직을 경고하고 있습니다.
피치(Fitch) 조사결과로는 탈 중국화를 83%가 반대합니다. 이것은 ‘17년에 77%, ‘18년 80%로 점차 해마다 높아지고 있지요. 결국 미국의 중국 의존도는 점점 높아져 간다고 봅니다.
많은 기업들은 중국을 꺼리면서도 중국 내수 시장의 폭발적인 잠재력을 무시할 수가 없습니다. 가구소득 평균 $35,000 이상의 중산층이 2021에는 400만 가구였는데 10년 후인 2025년에 1억 8천만 가구로 성장하는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거의 폭발하듯 커지는 중국 시장을 어느 기업이든 무시할 수 없을 것입니다.
2030년 내수시장은 12조 7천억 달러로 예상이 되면서 한국 내수시장의 17배나 됩니다. 따라서 내수시장에 대한 포기가 아니라 제한적이지만 적극적인 참여로 성장에 참여해 동참해야 합니다. 현실적인 고민 이지요.
▶ 중국의 진로
이를 잘 알고 있는 중국 정부는 세계 시장의 공급과 수요라는 양대 축을 활용해서 자신들의 정책과 신뢰를 지속적으로 추구하고 있습니다. 최근 불거져 나오는 대만 이슈나 중동 아프리카 유럽까지 뻗치고 있는 일대일로, 살얼음판 같은 동북아 정세, 여기에 RCEP를 통한 다자간 무역 네트워크, 위안화를 기축통화로 삼는 국제금융 영향력 확대, 특히 중앙은행이 발행하는 가상화폐 CBDC로 디지털 금융의 패권을 추구하고 있습니다.
최근에 민간 기업들의 정보화 집중으로 중앙집권력이 영향을 받는다고 보고 디지털 플랫폼 기업들에 대한 단속을 시작하였습니다.
중국 공산당 중심의 통제된 중앙 경제를 추구하기 위해서 정보를 일원화해서 집중관리하고 중앙 통제를 강화하면서 한편으로는 민심을 얻기 위한 분배 정책까지 내세우고 있습니다.
에너지 확보 및 향후 경쟁력 확보를 위한 기술 자립, 우주개발 등을 통한 영역 확대도 꾀하고 있습니다. 이제 미-중간의 갈등은 대기권을 벗어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정책은 지금까지 중국의 공급망에 의존하고 중국 내수시장에서 이익을 취하던 많은 기업들에게 불확실성을 키워주고 위험관리의 필요성을 절실하게 느끼게 합니다.
최근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에서는 이러한 중국의 탈 중국화 정책에 대한 현황을 분석하고 필요한 전략을 제시하는 내용이 있었습니다.(HBR “The Strategic Challenges of Decoupling” 참조)
여기서 저자는 관련 기업들이 중국에서 공급망에 얼마나 의존 하는가? 내수 시장에 얼마나 관련되어 있는가?를 바탕으로 네 가지 분야로 구분하고 각각의 대안을 제안하였습니다.
▷우선 공급망 의존도도 매우 높고 내수 시장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기업군을 Dual Player라 칭하고 이들에 대한 정책을 제안하였습니다.
탈 중국화 추세에 맞춰 공급망 다변화 전략이 필요하고 내수시장 확대를 위해서 현지법인 생산을 추진해야 합니다. 즉 현지화를 서두르는 것이지요. B2B를 위해서는 ‘in China for China’ 전략으로 중국 내수용으로 중국 내에서 생산하는 전략을 추천합니다.
바로 중국 현지화에 맞춤형 제조가 됩니다.
곁들여서 로컬 기업들과 경쟁 우위를 유지하기 위해서 IT 디지털화로 지속적인 성능 및 품질개선 혁신을 이루고 경쟁 우위를 유지할 것을 조언하고 있습니다
▷공급망 의존도는 높지만 시장 점유율은 작을 때 이런 기업군을 Upstrem Player로 칭하고 이들에 대해서는 대체 공급망을 시급히 확보할 것을 추천합니다.
즉 ‘China + 1’ 전략이지요. 대체 후보지로는 베트남이 단연 인기를 모으고 있습니다. 실제로 코로나 중에도 베트남의 외국인 직접투자(FDI)는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습니다. 일본은 JAICA 중심으로 투자를 서두르고 있고 싱가폴 태국 등 동남아에서 투자도 확대되고 있습니다.
반면에 시장을 계속 확대 유지하기 위해서는 핵심 역량 강화가 필요합니다 기술개발, R&D, 디자인 개선, 브랜드 로열티, ESG경영을 통한 차별화를 시도해볼 만합니다.
▷중국 조달은 많지 않지만 중국 시장 판매량이 클 경우 이들은 마켓 플레이어로 봅니다. 시장의 흐름에 맞춰 현지 트렌드에 대한 선도적 반영이 필요합니다. B2B를 위해서는’ in China for China’ 전략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중국 현지화 판매, 디지털화로 경쟁력 유지가 필요합니다. 성장하는 내수시장에 맞춰 시장다변화 전략으로 현지화가 매우 중요합니다. 리스크를 줄이기 위한 현지 업체와의 제휴도 적극 검토하는 것이 좋겠지요.
그러나 현지에서 쉽게 접근하기 어려운 기술, 디자인, 브랜드 등 차별화된 핵심 역량이 없으면 현지 시장 확대는 쉽지 않아 보입니다.
▷마지막으로 공급도 작고 판매도 적은 제한적 참여 업체들은 중국 정부의 방침에 주의하여야 합니다. 특히 정부의 관리 품목에 대해서는 위험관리 대비책을 세우고 출구전략을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정부 정책이 바뀌어서 하루 아침에 판매가 중단되거나 공급망이 끊기는 일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단편적으로 몇 가지 전략을 살펴보았지만 여전히 중국은 놓칠 수 없는 매력적인 시장이면서 위험도가 높고 변화 진폭이 큰 시장입니다.
따라서 탈 중국화 시대에 중국의 공급망도 효율적으로 유지하고 중국 내수 시장도 성공적으로 유지 확대하는 적극적이고 지혜로운 전략이 필요해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