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 무역분쟁에도 중국 경제는 중고속 성장
상태바
미중 무역분쟁에도 중국 경제는 중고속 성장
  • 이아영 기자
  • 승인 2019.09.05 15:3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019년 상반기 미중 무역분쟁의 영향으로 인한 중국 대외 수출입은 감소

중국 상반기 GDP는 6.3%로 중국 정부는 지속적으로 온중구진(稳中求进) 목표
사진=Pixabay

미중 무역 갈등이 심화되면서 중국 경제 성장에 대한 우려감이 커지고 있지만 상반기 중국 경제는 안정 속에 중고속 성장을 이어간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사장 권평오, KOTRA) 중국 상하이무역관은 9월 5일 2019년 상반기 중국 경제 현황에 대한 점검을 통해 상반기 중국 실질 GDP 성장률이 6.3%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상하이무역관에 따르면 2019년 중국 실질 GDP는 1분기 21조 3,432억 위안, 2분기 23조 7,500억 위안을 기록하며, 2019년 상반기 총 누적 GDP 45조 933억 위안을 기록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6.3% 증가한 수치다.  

중국 GDP 성장률은 최근 5년간 6%대에 머물며, 2014년 시진핑 정부가 신창타이(新常态)를 제시한 이래로 중고속 성장을 이어가는 한편, 경제 성장률은 매년 소폭 하락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중국 정부는 2019년 경제 성장률 목표 구간을 6.0%~6.5%로 설정하며, 온중구진 (稳中求进, 안정 속 성장) 상태를 이어갈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2019년 6월 IMF는 중국 경제성장률을 ’19년 6.2%, `20년 6.0%로 예측한 바 있는데, 지난 4월 ‘19년 6.2%, ‘20년 6.3%로 전망한 것에 비해서는 소폭 하향된 수치다. 이는 미중 양국 간 무역 갈등이 심화되며 중국 경제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것으로 예상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산업별 GDP 증가율

2019년 상반기 산업별 GDP 증가액은 1차 산업 2조 3,207억 위안(+3.0%), 2차 산업 17조 9,984억 위안(+5.8%), 3차 산업 24조 7,743억 위안(+7.0%)으로 3차 산업이 그중 가장 큰 증가율을 보였다.  

2019년 상반기 각 산업별 증가액이 총 GDP 증가액에서 차지하는 비율로는 1차 산업이 5.1%, 2차산업이 39.9%, 3차 산업이 54.9%로 나타났다. 중국에서 근 5년간 3차 산업이 가장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나, 영국, 미국 등 3차 산업 비중이 70%가 넘는 다른 선진국에 비해서는 여전히 낮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중국 대외 무역 추이 

2019년 1월~6월 중국 총 교역액은 2조 1,612억 달러로 전년 동기대비 2.0% 하락했다. 수출은 1조 1,712억 달러(+0.1%), 수입은 9,900억 달러(-4.3%)로 무역 수지는 1,812억 달러의 흑자를 기록했다.  

중국의 주요 수출 품목은 의류, 방직물, 무선 전화기, 전기 제품, 농산물 등이고, 주요 수입 품목은 전기제품, 원유, 농산물, 집적 회로, 첨단기술 제품 등으로 나타났다.  

▷중국의 무역 주요국별 수출입 비교

2019년 상반기 기준, 수출 상위 5개국은 미국, 홍콩, 일본, 한국, 베트남, 수입 상위 5개국은 한국, 일본, 대만, 미국, 호주 순이다. 총 교역액 상위 5개국은 미국, 일본, 한국, 홍콩, 대만 순이었다. 

중국의 대외 수출 중 이번 상반기 가장 두드러지는 변화는 중국의 대미 수출이 중국의 전체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율이 급감했다는 점이다. 미국 수출의 점유율은 2018년 19.2%에서 2019년 상반기 17.0%로 감소하며 2.2%의 하락을 보였다. 

상반기 중국의 수출 비중이 가장 큰 미국과 홍콩의 비중이 감소한 것과 상반되게 對베트남 수출 비중은 전년 동기 대비 0.4% 증가하였다. 

한편 중국의 대외 수입 측면에서도 미국 점유 비중이 급감한 것이 두드러진다. 2017년 8.4%였던 수입 점유율이 무역전쟁이 본격화된 2018년 7.3%로 감소하고, 2019년 상반기에는 6%까지 감소한 상태다. 

중국의 수입 시장 점유율은 독일이 18년 까지 약 5%를 유지하며 점유율 5위를 유지하였으나, 2019년 상반기 호주의 중국 수입시장 점유율이 5.7%까지 증가하며 독일을 넘어선 5위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한국의 對중국 수출입

2019년 상반기 우리나라의 對중국 수출액은 전년 동기대비 17.0% 하락한 656억 달러, 수입은 4.3% 증가한 541억 달러를 기록하며, 무역흑자 115억 달러를 보였다. 수출입 총액은 2018년 상반기 1,310억 달러에서 약 8.6% 하락한 1,197억 달러를 기록했다. 

이번 상반기 중국의 최대 수입국인 한국이 중국의 대외 수입에서 차지하는 비중 역시 2018년 9.7%에서 2019 상반기 8.6%로 1.1%p 감소하는 모습을 보였다. 

상반기 對중 수출 감소는 한국의 전체 對중 수출액의 약 24%를 차지하는 전자집적회로(반도체)의 수출액이 전년 동기 대비 30.8% 감소한 것이 가장 큰 요인이 되었다. 對중 반도체 수출의 급감은 공급 과잉 등의 영향으로 인한 반도체 가격의 하락이 주 원인이다. 또한, 미중분쟁으로 인한 메모리 반도체 수요의 감소 역시 한국의 對중국 반도체 수출 감소의 부수적인 원인으로 지적된다. 

또한 상반기 對중국 수출입액 감소의 대내적 요인으로는 중국 내 기업의 경쟁력 향상 및 자급률 제고, 산업구조조정 등 성장전략 전환, 중국의 제조기술 지속 향상 등으로 분석되고 있다. 

▶한국의 對중국 투자

기획재정부의 자료에 따르면 2019년 1분기 한국의 대외 투자는 전년 동기 대비 44.9% 증가한 141.1억 달러로 2년 이래 최고의 증가폭을 보였다. 특히 對중국 투자는 2019년 1분기 1,692백만 달러를 기록하며 전년 동기 대비 156.1%의 증가를 보이고 있다. 

왕이(网易) 신문에 의하면, 2019년 상반기(1~6월) 한국의 대 중국 투자는 63% 증가하였으며, 주 투자영역은 최첨단 기술 산업에 집중되어 있다고 전했다. 또한 왕이신문은 한국이 일본과의 반도체 분쟁 이후 새로운 공급원 모색의 일환으로 중국 반도체 부품 업체와 적극적으로 투자 및 협력 의향을 보이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한국의 對 중국 투자 증가요인으로는 미중분쟁으로 인한 지적재산권 보호 강화 등 친 외국자본 정책으로 외자기업 사업환경 개선, 사드이후 냉각되었던 양국관계 회복 등이 있다.  

▶중국의 對한국 투자

산업통상부 자료에 따르면 2019년 상반기 한국의 총 외국인투자는 전년 대비 신고금액 기준 3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니케이 아시아 리뷰에 따르면 한국의 경기 침체와 한국의 조세감면 정책 중 소득세 법인세 지원 정책이 2018년 종료된 것 등이 전세계의 對 한국 투자 감소의 원인으로 지적된다. 

2019년 상반기 중국의 對 한국 투자 총 신고 금액은 약 3억 1백만 달러로 2018년 상반기의 22억 2백만 달러 대비 약 86% 감소했다. 이는 2018년 중국의 對한국 FDI가 2017년 대비 238.9% 증가함으로써 발생한 기저효과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시사점

2019년도 상반기는 무엇보다도 미중 무역분쟁의 영향으로 중국의 대미 수출입이 크게 하락했다. 

하지만, 중국 정부는 언론을 통해 세계 경제의 하방 압력 및 불리한 대외조건에도 불구하고 이번 상반기 6.3%의 경제 성장을 이루어 냈다며, 중국 경제는 튼튼하고 실력을 갖추고 있다고 선전하고 있다. 

▷한국에게 주는 시사점

한국 대외 수출 중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1/4 정도로 가장 높은 상황이다. 따라서 한국의 대중 수출 및 중국 경제의 변화는 한국 전체 수출의 변동을 좌지우지할 뿐만 아니라 수출 주도형 국가인 한국의 전체 경제 성장에도 큰 영향을 미치게 된다. 

중국은 2018년부터 시행한 상하이 수입박람회(进口博览会)에 시진핑 주석이 참가하며 중국의 대외 개방 및 외자 유치 의지를 확실하게 보여주고 있다.

장덕환 상하이무역관은 "2019년 들어서는 3월에 <외국인투자법(外商投资方)>을 정식으로 통과시키고, 이후 네거티브 리스트를 축소하는 등 더 적극적인 대외 개방 자세를 보여주고 있다."면서, "한국의 의료, 서비스업 등 기업의 중국 진출에 있어서는 큰 기회가 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아울러 장 상하이무역관은 "한국 기업은 중국의 경기 하방 압력에도 관심을 두고 대비하는 자세로 높은 대중 수출 의존도를 낮추는 방안 역시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전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